미국 육군참모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는 1901년 설립된 미국의 국립 육군 군사 교육 기관으로, 1881년 캔자스주 포트 레이븐워스에 개교한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의 분교로 시작되었다. 스페인-미국 전쟁의 교훈을 바탕으로 엘리후 루트와 시어도어 루스벨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활동 축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폐쇄를 겪은 후 1950년 재개교했다. 기본 전략 예술 프로그램, 전략 연구 석사 과정 등을 운영하며, 전략적 리더십 센터, 평화유지 및 안정화 작전 연구소 등의 부설 기관을 두고 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조지 S. 패튼,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H. 노먼 슈워츠코프 등 수많은 저명한 졸업생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펜실베이니아주의 건축물 - 존스타운 홍수 국립기념지
존스타운 홍수 국립기념지는 1889년 사우스 포크 댐 붕괴로 발생한 존스타운 홍수를 기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댐의 잔해와 클럽하우스를 보존하고 전시, 하이킹 트레일 등을 제공하며, 1964년 국립 기념관으로 지정되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건축물 -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스리마일 섬 원자력 발전소는 펜실베이니아주에 위치한 발전소로, 1979년 2호기 사고 이후 원자력 발전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으며, 1968년 건설되어 가압수형 원자로를 사용, 1호기는 폐쇄 후 재가동 예정이다. - 펜실베이니아주 - 게티즈버그
게티즈버그는 펜실베이니아주 애덤스 카운티의 자치구로, 사무엘 게티스가 여관을 세운 후 그의 아들이 토지를 분할 판매하며 형성되었으며, 게티즈버그 전투와 링컨의 연설로 유명하고, 현재는 역사 유적지와 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펜실베이니아주 - 미첼 파이겐바움
미첼 파이겐바움은 카오스 이론 연구를 통해 파이겐바움 상수를 제시하고, 맥아더 펠로우쉽과 울프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금융 소프트웨어 회사를 설립하기도 한 미국의 수리물리학자이다. - 미국의 군사 학교 - 미국 국방대학교
미국 국방대학교는 국가 안보 전략 개발 및 고위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교육, 연구,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미국의 고등 교육 기관이다. - 미국의 군사 학교 - 미국 국방참모대학교
미국 국방참모대학교는 1943년 설립되어 군 장교, 연방 기관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전략적 리더십 교육을 제공하며, 미국의 국가 안보 지도자 양성에 기여한다.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
로마자 표기 | United States Army War College |
표어 | Prudens futuri |
표어 (라틴어) | la |
표어 (영어) | Wisdom and strength for the future |
개교일 | 1901년 |
유형 | 워 칼리지 |
국가 | 미국 |
위치 | 펜실베이니아 주 칼라일 |
재학생 수 | 800명 |
웹사이트 |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웹사이트 |
주요 관계자 | |
책임자 | 데이비드 C. 힐 |
교육 | |
교육 과정 | 군사 교육 레벨 1 프로그램 |
상징 | |
![]() | |
![]() |
2. 역사
1901년 미국 육군참모대학교가 스페인-미국 전쟁의 교훈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1902년 7월 새뮤얼 B. M. 영(Samuel B. M. Young) 소장이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었고,[7] 1904년에 첫 학생들이 입학했다.
1916년 몽고메리 M. 메콤(Montgomery M. Macomb) 총장 재임 시절,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 대통령은 학교가 공격적인 전쟁을 계획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활동 축소를 주장했다.[8][9]
말린 크레이그(Malin Craig)는 1936년 미국 육군 참모총장(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rmy)으로 임명되기 전 사령관을 역임했고, 월터 S. 그랜트(Walter S. Grant)가 그 뒤를 이었다.[10]
학교는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으로 인해 1940년대에 폐쇄되었다가 1950년 포트 리븐워스(Fort Leavenworth)에서 재개교했으며, 1년 후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2. 1. 설립 배경
1901년 '''미국 육군참모대학교'''가 처음 개교하였다. 이곳은 1881년 미국 캔자스주 포트 레이븐워스에 개교한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의 분교라 할 수 있는 미국 국립 육군군사참모교육기관이다.
스페인-미국 전쟁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전쟁장관 엘리후 루트(Elihu Root)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에 의해 설립되었다. 1901년 11월 27일 제155호 일반 명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현재 포트 레슬리 J. 맥네어(Fort Lesley J. McNair)로 불리는 워싱턴 막사(워싱턴 D.C.(Washington, D.C.))가 부지로 선정되었다. 루스벨트는 1903년 2월 21일 프리메이슨의 루스벨트 홀(국립전쟁대학)(Roosevelt Hall (National War College)) 초석 설치식에 참석했다.
2. 2. 초기 역사 (1901년 ~ 1940년대)
1901년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는 1881년 미국 캔자스주 포트 레이븐워스에 개교한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의 분교라 할 수 있는 미국 국립 육군군사참모교육기관이다.스페인-미국 전쟁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전쟁장관 엘리후 루트(Elihu Root)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01년 11월 27일 제155호 일반 명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현재 포트 레슬리 J. 맥네어(Fort Lesley J. McNair)로 불리는 워싱턴 막사(워싱턴 D.C.(Washington, D.C.))가 부지로 선정되었다. 루스벨트는 1903년 2월 21일 프리메이슨의 루스벨트 홀(국립전쟁대학)(Roosevelt Hall (National War College)) 초석 설치식에 참석했다.
1902년 7월 새뮤얼 B. M. 영(Samuel B. M. Young) 소장이 육군전쟁대학의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었으며,[7] 1904년에 첫 학생들이 입학했다.
1916년 몽고메리 M. 메콤(Montgomery M. Macomb) 총장 재임 시절,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 대통령은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에 참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공격적인 전쟁을 계획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윌슨은 학교가 학생들의 지적 성장과 전문성 개발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는 메콤의 설명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미국의 중립을 유지하기 위해 학교의 활동을 축소할 것을 주장했다.[8][9]
말린 크레이그(Malin Craig)는 1936년 미국 육군 참모총장(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rmy)으로 임명되기 전에 사령관으로 재직했으며, 그의 뒤를 월터 S. 그랜트(Walter S. Grant)가 이었다.[10] 이 학교는 1940년대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으로 인해 폐쇄될 때까지 워싱턴 막사에 남아 있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재개교
1901년 엘리후 루트(Elihu Root) 전쟁장관과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대통령에 의해 설립된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는, 1881년 미국 캔자스주 포트 레이븐워스에 개교한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의 분교라 할 수 있는 미국 국립 육군군사참모교육기관이다. 1901년 11월 27일 제155호 일반 명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현재 포트 레슬리 J. 맥네어(Fort Lesley J. McNair)로 불리는 워싱턴 막사(워싱턴 D.C.(Washington, D.C.))가 부지로 선정되었다. 루스벨트는 1903년 2월 21일 프리메이슨의 루스벨트 홀(국립전쟁대학)(Roosevelt Hall (National War College)) 초석 설치식에 참석했다.1902년 7월 육군전쟁대학의 초대 총장으로 새뮤얼 B. M. 영(Samuel B. M. Young) 소장이 임명되었으며[7], 1904년에 첫 학생들이 입학했다.
1916년 몽고메리 M. 메콤(Montgomery M. Macomb) 총장 재임 시절,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 대통령은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에 참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공격적인 전쟁을 계획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윌슨은 학교가 학생들의 지적 성장과 전문성 개발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는 메콤의 설명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미국의 중립을 유지하기 위해 학교의 활동을 축소할 것을 주장했다.[8][9]
말린 크레이그(Malin Craig)는 1936년 미국 육군 참모총장(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rmy)으로 임명되기 전에 사령관으로 재직했으며, 그의 뒤를 월터 S. 그랜트(Walter S. Grant)가 이었다.[10] 이 학교는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으로 인해 1940년대에 폐쇄될 때까지 워싱턴 막사에 남아 있었다. 1950년 포트 리븐워스(Fort Leavenworth)에서 재개교했으며, 1년 후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3. 교육 과정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는 고급 장교와 일반 시민에게 고급 리더십과 군무를 준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매년 대령 및 중령급 인사들이 입학 대상이 된다.[1]
800여명이 이곳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절반은 원격 교육으로, 나머지는 캠퍼스에서 교육을 받는다. 정규 교육 과정은 2년(10개월 소요)이며, 교육을 수료하면 전략 연구 석사 학위를 받는다. 입학하기 위해서는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교 졸업이 필수이다.[1]
3. 1. 기본 전략 예술 프로그램 (Basic Strategic Art Program)
기본 전략 예술 프로그램(Basic Strategic Art Program)은 미국 육군참모대학교(U.S. Army War College)에서 가르치는 학술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2003년 설립 당시,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기능 분야 59(전략가, 이전에는 전략 계획 및 정책)로 새롭게 지정된 장교들에게 전략과 군 전략가로서의 발전을 위한 기초가 되는 기술, 지식 및 자질을 소개하는 것이었다.기능 분야 59 장교들은 2001년 9월 11일 테러 공격 이후 테러와의 전쟁이 시작된 이후 전투에 배치되었다. 그 이후 이 프로그램의 졸업생들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의 주요 직책, 모든 전투 사령부 및 펜타곤에서 근무했다.
3. 2. 전략 연구 석사 과정
고급 장교와 일반 시민에게 고급 리더십과 군무를 준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매년 대령(Colonel) 및 중령(Lieutenant colonel)급 인사들이 입학 대상이 된다.항상 800명이 수학하고 있으며, 절반은 원격 교육으로, 나머지는 캠퍼스에서 이루어진다. 정규 교육은 2년 과정이며, 10개월이 소요되고, 수료하면 전략 연구 석사 학위(Master's degree in Strategic Studies)를 수여받는다. 입학에는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교 졸업이 필수이다.
4. 부설 기관
미국 육군참모대학교에는 전략적 리더십 센터(Center for Strategic Leadership)와 평화유지 및 안정화 작전 연구소(Peacekeeping and Stability Operations Institute) 등의 부설 기관이 있다.
4. 1. 전략적 리더십 센터 (Center for Strategic Leadership)
경험적 학습과 고위 지도자 교육, 육군 고위 지도자 연구 지원, 그리고 미국 육군사관학교(USAWC) 및 육군 고위 지도자 전략적 소통 노력 지원에 중점을 둔다. 전략적 리더십 센터(CSL)의 전문 직원과 콜린스 홀(Collins Hall) 시설은 미국 육군사관학교, 미국 육군, 그리고 기관 간 및 합동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광범위한 전략적 리더십 및 국가 안보 문제와 개념에 초점을 맞춘 워크숍, 심포지엄, 컨퍼런스, 게임 및 훈련 등 다양한 행사를 주최, 지원, 개발 및 진행한다.4. 2. 평화유지 및 안정화 작전 연구소 (Peacekeeping and Stability Operations Institute)
평화유지 및 안정화 작전 연구소(PKSOI)는 육군참모대학교에 위치해 있다. 이 연구소의 임무는 미군의 전략적 및 작전적 차원에서 안정 및 평화 작전을 위한 우수 센터 역할을 수행하여 군, 민간 기관, 국제 및 다국적 기관의 역량과 실행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5. 주요 동문
졸업 연도 | 인물 | 비고 |
---|---|---|
1910년 | 존 앨런 르주느 | |
1910년 | 헌터 리겟 | |
1911년 | 샘슨 L. 페이슨 | |
1914년 | 벤 헤바드 풀러 | |
1915년 | 존 윌슨 러크먼 | |
1921년 | 월터 크루거 | |
1925년 | 찰스 H. 코렛 | |
1927년 | 에드먼드 L. 그루버 | |
1928년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
1929년 | 사이먼 볼리바르 버크너 주니어 | |
1929년 | 로이 가이거 | |
1929년 | 오스카 그리즈월드 | |
1929년 | 클라렌스 R. 휴브너 | |
1929년 | 레슬리 J. 맥네어 | |
1929년 | 트로이 H. 미들턴 | |
1929년 | 프랭클린 C. 사이버트 | |
1930년 | 윌리스 D. 크리텐버거 | |
1930년 | 로버트 L. 아이켈버거 | |
1930년 | 찰스 P. 홀 | |
1930년 | 제시 B. 올덴도르프 | |
1931년 | 프랭크 잭 플레처 | |
1931년 | 윌리엄 R. 슈미트 | |
1932년 | 길버트 R. 쿡 | |
1932년 | 레너드 T. 제로우 | |
1932년 | 웨이드 H. 헤이스립 | |
1932년 | 토마스 홀콤 | |
1932년 | 존 P. 루카스 | |
1932년 | 알렉산더 패치 | |
1932년 | 조지 S. 패튼 주니어 | |
1933년 | 프랭크 M. 앤드류스 | |
1933년 | 조지 케니 | |
1934년 | 에드워드 알몬드 | |
1934년 | 오마르 브래들리 | |
1934년 | 율리시스 S. 그랜트 3세 | |
1934년 | 루이스 브레인 허시 | |
1934년 | 어니스트 N. 하몬 | |
1934년 | 조나단 M. 와인라이트 | |
1936년 | 노먼 코타 | |
1936년 | 존 R. 호지 | |
1936년 | 리처드 마셜 | |
1937년 | 에드워드 H. 브룩스 | |
1937년 | 마크 W. 클라크 | |
1937년 | 매슈 리지웨이 | |
1937년 | 월터 베델 스미스 | |
1937년 | 로웰 워드 룩스 | |
1938년 | J. 로턴 콜린스 | |
1939년 | 레슬리 그로브스 | |
1939년 | 폴 R. 홀리 | |
1939년 | 호이트 밴덴버그 | |
1940년 | 앤서니 맥올리프 | |
1940년 | 맥스웰 D. 테일러 | |
1940년 | 페드로 델 발레 | |
1951년 |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 |
1952년 | 브루스 팔머 주니어 | |
1953년 | 크레이턴 에이브람스 | |
1960년 | 얼 E. 앤더슨 | |
1960년 | 버나드 W. 로저스 | |
1966년 | 알렉산더 헤이그 | |
1966년 | 돈 A. 스타리 | |
1973년 | H. 노먼 슈워츠코프 | |
1973년 | 루이스 솔리 | |
1978년 | 조지 줄완 | |
1978년 | 존 M. 셜리카실리 | |
1978년 | 고든 R. 설리반 | |
1980년 | 무하마두 부하리 | 나이지리아 대통령 |
1981년 | 윌리엄 W. 하르츠그 | |
1981년 | 리처드 마이어스 | |
1982년 | 클라라 리치 애덤스-엔더 | |
1983년 | 도널드 파울러 | |
1984년 | 토마스 E. 화이트 | |
1985년 | W. 패트릭 랭 | |
1985년 | 토미 프랭크스 | |
1988년 | 제임스 피크 | |
1990년 | 랜스 L. 스미스 | |
1990년 | 압둘카디르 셰이크 디니 | 소말리아 군대 |
1991년 | 윌리엄 G. 보이킨 | |
1993년 | 월터 E. 개스킨 | |
1995년 | 존 킴몬스 | |
1995년 | 레이먼드 T. 오디에르노 | |
1996년 | 로이드 오스틴 | |
1999년 | 치우 구오청 | 대만 국방부 장관 |
2001년 | V. K. 싱 | 인도 육군 |
2002년 | 프랭크 J. 코르테 주니어 | |
2003년 | 파라미 쿨라퉁가 | 스리랑카 육군 |
2003년 | 제프리 W. 탤리 | |
2004년 | 빅람 싱 | 인도 육군 |
2006년 | 조 헥 | |
2006년 | 제로님 바조 | 알바니아 군 |
2006년 | 압델 파타 엘시시 | 이집트 대통령 |
2007년 | 폴 M. 나카소네 | |
2008년 | 리즈완 악타르 | 파키스탄 육군 군사 정보국(ISI) 국장 |
2008년 | 이호르 호르디이추크 | 우크라이나 |
2010년 | 더그 매스트리아노 | |
2011년 | 나비드 묵타르 | 파키스탄 육군 군사 정보국(ISI) 국장 |
2016년 | 대니 포르탱 | 캐나다 |
2017년 | 크리스토퍼 G. 무사 | 나이지리아 |
2017년 | 트레이시 푸아리에 | |
2019년 | 에주프 마케돈치 | 코소보 국방부 장관 |
참조
[1]
웹사이트
Commandant's Column: Envisioning USAWC 2020
http://www.carlisle.[...]
2013-11-27
[2]
웹사이트
2020 CENSUS - CENSUS BLOCK MAP: Carlisle Barracks CDP, PA
https://www2.census.[...]
U.S. Census Bureau
2024-10-17
[3]
웹사이트
Historic Carlisle Barracks
http://www.armywarco[...]
2017-11-03
[4]
웹사이트
Military Education Level 1 Programs
http://www.armywarco[...]
2017-11-03
[5]
웹사이트
US Army War College
http://www.carlisle.[...]
2013-07-23
[6]
간행물
Army Regulation 10-87, Army Commands, Army Service Component Commands, and Direct Reporting Units
https://armypubs.arm[...]
2017-12-11
[7]
서적
Commanding Generals and Chiefs of Staff, 1775-2005: Portraits & Biographical Sketches of the United States Army's Senior Officer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6
[8]
서적
A Companion to the Meuse-Argonne Campaig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Inc.
2014
[9]
서적
The AEF Way of War: The American Army and Combat in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0]
잡지
Obituary, Walter S. Grant
https://digital-libr[...]
Association of Graduates,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195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